흥전리 사지 발굴조사…"통일신라 승려의 당나라 교류 증거"

▲ '대장경' 명문 비석 조각. [문화재청 제공]

지난 5월 완전한 형태의 국보급 통일신라 청동정병이 나온 강원도 삼척 흥전리 절터에서 '대장경'(大藏經)이란 글자가 새겨진 같은 시대의 비석 조각이 출토됐다.

문화재청은 삼척시와 불교문화재연구소가 흥전리 사지(寺址)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 명문 비석 조각과 귀신 얼굴이 있는 기와인 귀면와, 가릉빈가(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상상의 새)상 수막새 등 다양한 통일신라시대 유물을 찾아냈다고 24일 밝혔다.

흥전리 사지 삼층석탑 주변에서 나온 비석 조각의 명문 중 일부는 '당조장대장경이지함'(唐朝將大藏經而至咸)으로, 이는 '당 왕조가 대장경을 받들어 함통(중국 당 의종의 연호·860∼874) 연간에 이르러'란 뜻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 비문에서 '대장경'이란 글자가 확인된 것은 전남 곡성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에 이어 두 번째다.

비석의 '대장경' 글자에 대해 불교문화재연구소 측은 "대장경은 구전돼 오던 부처의 말씀을 기록한 것"이라며 "통일신라 승려가 당시에는 선진 문물이었던 중국의 대장경을 직접 접촉해 배우고 연구했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또 이번 조사에서 나온 귀면와와 가릉빈가상 수막새 등은 제작기법이 우수하고 조형미가 뛰어나다는 점에서 경주 신라 왕경에서 삼척으로 파견된 장인이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건물 유구(遺構, 건물의 자취)로는 동원(東院)의 건물지에서 판석으로 네모나게 만든 방곽 아궁이와 고래 시설(구들장 아래로 불길이 나아가는 통로)이 조사됐고, 서원(西院)에서는 석축 등을 이용해 경사진 땅을 평평하게 다진 지정시설이 발견됐다.

방곽 아궁이는 인근의 강릉 굴산사지에서도 출토된 바 있으나, 흥전리 사지 유적이 시기적으로 더 앞선 것으로 평가된다.

앞서 흥전리 사지에서는 2014년부터 발굴조사를 통해 신라시대에 국왕의 고문 역할을 한 승려인 '국통'(國統)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비문 조각과 화려한 장식의 금동번(금동 깃발) 등이 나왔다.

불교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그간의 발굴 성과를 종합했을 때 흥전리 사지에 머물렀던 스님은 통일신라시대 신라 왕경의 명문 집안 출신으로 성은 김씨"라며 "이 스님은 당나라에 유학했고, 훗날 '국통'의 지위에 올랐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장에 방치된 석탑과 귀부(龜趺·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 석등 등에 대한 복원 연구를 추진하고, 내년에도 발굴조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흥전리 사지는 산맥과 물길이 나뉘는 강원도 매봉산 자락에 있으며,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돼 고려시대 초기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는 25일 오후 1시 삼척시 흥전리 산92-1 번지 발굴 현장에서 설명회를 개최한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