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귀 프로그램 단순 훈련 불과
수혜 조건 현실 괴리 대책 시급

강원도내 경력단절 여성이 4만명에 이르지만 이들의 사회복귀를 돕는 지원사업은 턱없이 부족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경력단절여성은 3만9000여명이다.경력단절여성이란 임신·출산·육아나 가족의 돌봄 등을 이유로 경제활동을 중단했거나 경제활동을 한 경험이 없는 여성 중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을 뜻한다.

도내 경력단절여성은 2015년 4만8000명,2016년 4만300여명,지난해 3만9000명 등 매년 감소추세에 있지만 이는 결혼인구가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지난해 도내 여성인구 중 3만6000여명이 타시도로 떠났고 이 때문에 15세부터 54세까지의 기혼여성 수가 지난해 1만여명 정도 줄어들면서 경력단절여성도 자연스럽게 감소했다는 것이다.실제 도내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중은 지난해 16.3%로 전년(17.3%)대비 1%p 감소하는 등 여전히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더구나 경력단절여성 비중이 유지되면서 20세 이상,50세 미만 여성 취업률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지난 2분기 도내 20세 이상~ 50세 미만 여성 취업자 수는 18만여명으로 전년 동분기(18만6000여명)보다 6000여명(3.2%)이나 감소하는 등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또 강원도가 올해 경력단절여성들의 사회복귀를 위해 마련한 일자리는 5700여곳으로 지난해 도내 경력단절여성 수의 15%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육아문제로 실직한 최미진(38·가명)씨는 “각종 사회복귀 프로그램이 있어도 단순 훈련과 지원이 전부인데다 수혜조건이 현실과 동떨어진 게 많다”며 “복직시 중단된 경력을 인정받거나 육아로 인한 휴직기간을 제대로 보장받는 제도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관호 gwanho@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