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8시 15분 별세했다. 향년 92세. 사진은 1988년 서울 수유리 아카데미하우스에서 만난 3김. 왼쪽부터 당시 김종필 공화당 총재, 김영삼 민주당 총재, 김대중 평민당 총재. [연합뉴스 자료사진]
▲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8시 15분 별세했다. 향년 92세. 사진은 1988년 서울 수유리 아카데미하우스에서 만난 3김. 왼쪽부터 당시 김종필 공화당 총재, 김영삼 민주당 총재, 김대중 평민당 총재. [연합뉴스 자료사진]

23일 별세한 김종필(JP) 전 국무총리는 반평생을 권력의 중심부에 있으며 한국 현대정치의 흐름을 이끌었지만, 정작 '1인자'의 위치에는 오르지는 못했다.

부도옹(不倒翁)의 정치역정만이 생애를 수놓았다.

김영삼(YS), 김대중(DJ) 전 대통령과 함께 `3김(金) 시대'를 이끈 김 전 총리의 직업은 국회의원이면서 정당의 당수였고, 국무총리였다. 권력의 정점에 가장 가까이 있었던 그였지만, 대권과의 연은 없었다.

1980년 전두환 신군부의 등장과 함께 `권력형 부정축재자 1호'로 몰려 정치활동이 금지된 5공 시대를 제외하고는 줄곧 2인자의 삶을 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인자로서의 삶은 35세 때인 196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육군 중령으로서 처삼촌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5.16 쿠데타에 가담하며 정치 전면에 등장한 그는 거침없는 박정희 정권의 '풍운아'였다.

같은 해 서슬 시퍼런 중앙정보부를 창설, 초대 부장을 역임했고 1963년 공화당 창당을 주도했다. 1971년부터 75년까지 4년6개월간 국무총리를 재임하며 '박정희 후계자'로서의 꿈을 키웠다.

그러나 5.16 쿠데타 세력간 권력다툼으로 1963년 '자의반 타의반'이라는 말을 남기고 1차 외유에 나선 데 이어 1964년 '김종필-오히라 메모' 사건, 1968년 3선개헌 추진세력과의 충돌 등으로 한때 권력에서 멀어지도 했다.

GYH2018062300010004402_P2.jpg
1인자, 그리고 그 주변으로부터 끊임없이 견제받는 2인자로서의 숙명적 삶이 되풀이 것임을 암시한 것이다. 그 속에서 처세와 굴신, 나아가 'JP식 정치'를 몸에 익혔다 할 수 있다.

5공 신군부 등장으로 정치적 영어의 몸이 됐던 그는 1987년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한 데 이어 13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지며 '넘버 투'의 굴레를 벗어던지기 위한 몸부림에 나섰다.

1987년 대선에 4위에 그쳤지만 이듬해 13대 총선에서 충청권을 기반으로 35개 의석을 확보하며 건재함을 과시한 것이다.

하지만 박정희 정권 2인자라는 수식어를 단 그의 입지는 거세게 불어오는 민주화의 바람 앞에서 여지없이 흔들렸다. 결국 1990년 3당 합당을 통해 또다시 2인자의 길로 들어섰다.

이때부터 속칭 '충청권 맹주'로서 '캐스팅보트를 쥔 2인자'로 자리매김했다. 이는 충청권 지역주의 정치를 심화하는 등 한국정당정치의 후퇴를 상징하는 것이기도 했다.

아울러 양김(兩金)과의 끊임없는 밀고당기기를 통해 1992년, 1997년 대선에서 이들을 권좌에 올리는 데 성공했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자신의 대권도전이 무위에 그칠 것으로 판단하여, 내각제를 고리로 해 이들 양김과 '딜'을 하며 대권 쟁취를 도왔다는 해석이다.

김 전 총리는 1992년 대선을 앞두고 3당 합당으로 한배를 탄 YS에 대한 지지를 선언함으로써 여권 2인자로서의 자리를 굳혔다. 청와대의 신임을 받기 위한 그의 충성도 이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자당내 권력투쟁에 밀린 그는 6.27 지방선거를 앞둔 1995년 민자당을 탈당해 자민련을 창당했으며, 또다시 1997년 대권 도전을 선언하며 재기를 노렸다.

그러나 대선 막바지 그의 선택은 또다시 2인자였다. 여야 정권교체라는 명분을 내세워 당시 김대중 후보의 손을 들어줌으로써 `DJP 연합'을 성사시키며 헌정사상 최초의 수평적 정권교체를 일궜다.

이미 고희를 훌쩍 넘긴 그는 '국민의 정부 초대 국무총리'라는 공식적인 2인자의 반열에 올라 외환위기 사태 극복 등 김대중 전 대통령과 `콘크리트 공조'를 과시하며 새로운 전성기를 구가했다.

이후 내각제 파동, 16대 총선 과정에서 쌓인 권력 1, 2인자 사이의 앙금은 2001년 9월 임동원 당시 통일부 장관 해임안 가결로 공조 파기로 이어졌고, 김 전 총리는 정치적 내리막길을 걸었다.

2004년 17대 총선을 통한 재기를 노렸으나 역부족이었다. 자신의 10선(選) 도전에 실패한 것은 물론 4명의 의원만 배출하는 굴욕적 참패로 정계은퇴를 선언하며 2인자 정치인생에 마침표를 찍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