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입점에 토종 유통업 일자리 위축
강릉·원주 소상공인 퇴출 현상
거래처·도매상·농가까지 악영향
비정규직 채용 고용의 질도 떨어져

대형마트가 지역상생 방안으로 고용유발 효과를 내세우고 있지만 실제 지역 고용시장 전체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지역개발학회지가 2015년 발표한 ‘대형마트와 SSM이 지역상권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2002년,2009년 두개의 대형마트가 입점한 강릉시와 1999년 한곳,2012년 두 곳의 대형마트가 문을 연 원주시 일대를 조사한 결과,대형마트 입점 이후 지역내 소매업중심의 소상공인들이 퇴출됐으며 전반적인 고용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주 무실동의 경우 LQ지수(입지계수)가 2005년 2.23p에서 2013년 1.10p으로 크게 떨어졌으며 이는 무실동에 기업형슈퍼마켓(SSM) 4곳이 추가 입점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보통 LQ지수가 낮을수록 해당 지역내 유사산업의 고용감소가 확대되는 것을 의미한다.또 강원도내 대형마트와 SSM점포 입점 이후 일시적인 고용유발 효과가 있었지만 사실상 1,2년 이후부터 관련업종 고용 전반에 지속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강원도에 진출한 한 대형마트 영업점의 총 직원 수는 400여명으로 도내 A토종유통사 전점포 직원수 340여명을 웃도는 등 표면적으로 고용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해당 대형마트의 정규직은 130여명으로 전체의 32% 수준에 불과한 반면 A토종유통사의 정규직원은 320명으로 전체의 94%를 차지,대형마트가 고용의 질 수준에서 크게 뒤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구나 도내 취업자들이 퇴직금을 비롯한 임금측면에서 대형마트보다 토종마트를 선호하지만 대형유통점의 공세에 토종유통점이 위축되면서 일자리가 줄어드는 역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도내 유통업계 관계자는 “대형마트가 고용창출을 지역 상생전략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말 뿐이다”며 “이들이 자체 브랜드를 취급하면 자영업자 뿐만 아니라 거래처,도매상,농가까지 일자리가 줄어든다”고 말했다. 김도운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