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무방비·상생협력기금 유명무실,정부 스스로 신뢰 상실

강원도내 농어업이 최악의 국면으로 치닫는다.한·미,한·중 FTA로 촉발된 농어업 위기가 김영란법 파동을 거치며 걷잡을 수 없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앞으로의 전망은 더욱 암울하다.중국과 미국 두 나라와 FTA 추가 또는 재협상을 벌여야 하는데다 국내 상황도 녹록지 않다.미국과의 재협상이 특히 우려스럽다.자동차와 철강,전자산업의 보호를 명분으로 농어업분야의 희생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중국과의 서비스분야 추가 협상 과정에서도 불똥이 튈 개연성이 크다.안으로는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공동화 현상이 나타난다.정부의 농어촌 상생 정책마저 유명무실해지고 있다.

2015년 말 한·중FTA 발효 당시 정부는 농어업인들의 피해를 보전하기 위해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조성을 약속했다.FTA 체결에 따른 농어업인 등의 지원에 관한 특별법(자유무역협정농어업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자 대안으로 기금조성을 약속한 것이다.당시 국회 여야정협의체는 민간기업의 자발적 기부 방식으로 매년 1천억원,10년 간 1조원의 기금을 마련하기로 했다.그러나 지난해 9월 말 현재 모금된 금액은 54억2350만원에 그쳤다.농어업인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기금설치를 약속해 놓고 뒤통수를 친 것이나 다름없다.

농어업인과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건 이뿐만이 아니다.한미 FTA 이후 정부는 FTA 피해보전직불제를 시행했으나 2015년 이후 지원 실적이 전무한 상황이다.강원도 또한 예외가 아니다.2013년과 2014년 2년 동안 27억여 원이 지원된 후 사실상 끊긴 상태다.반면,미국산 쇠고기 수입은 한미 FTA 체결 첫해인 2012년 5억2000 달러에서 지난해 11억 7000달러로 두배 이상 늘었다.중국산 농산물도 매년 늘고 있다.중국어선의 싹쓸이 조업은 또 다른 위협이다.중국어선의 불법조업에 따른 국내 수산업계의 피해가 무려 1조3000억 원으로 추산된다.그러나 정부 당국은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농어업이 사각지대로 내몰리면서 강원도내 농어촌지역은 심각한 공동화 현상을 겪고 있다.어업인 가구는 지난 2014년 2562가구에서 2016년 2259가구로 13% 줄었다.어업 생산량도 갈수록 쪼그라들고 있다.농업이라고 해서 다를 것이 없다.농어촌 모두 생존의 기로에 봉착한 것이다.현재의 농어촌문제는 김영란법을 보완한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근본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